간호학과 (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)
총개설학점: 51학점(전공필수: 0 학점 / 전공선택: 51학점)
연 |
교과목 |
이수 |
교과목 |
영문명 | 학 |
교과목 해설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103 | 전선 | 논문연구 | Thesis Research | 3 |
논문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기초적인 작성지침을 습득하고, 기존 석ㆍ박사 논문의 분석과 비판을 통해 학위논문의 주제결정과 작성과정에 도움을 준다. |
|
2 | 5111001 | 전선 | 간호이론 | Nursing Theory | 3 | 간호이론의 구조, 기능 및 의의를 학습하고 이론 평가기준에 따라 실제 간호이론을 평가한다. |
|
3 | 5111002 | 전선 | 간호연구 | Nursing Research | 3 | 표된간호연구들을연구방법론에근거하여분석,평가하는방법을학습한다. |
|
4 | 5111009 | 전선 | 종양간호 | Oncology Nursing | 3 | 암의 발생과 원인, 암 치료의 최신지견, 암환자의 삶의 질 및 암환자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간호문제와 응급상황 관리 등에 대해 학습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탐색을 통해 근거-기반 실무 적용을 위한 과학적 간호 지식체를 학습한다. |
|
5 | 5111010 | 전선 | 상급 건강사정 | Advanced Health Assessment | 3 | 상급 간호를 적용하는데 필요한 건강사정의 방법을 이해하고 질환으로 인한 장기의 형태학적, 기능적 변화를 사정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 간호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개발한다. |
|
6 | 5111011 | 전선 | 재활간호 | Rehabilitation Nursing | 3 | 급성, 만성 질환이나 사고 및 재해 등으로 인해 장애가 초래된 대상자들로 하여금 주어진 조건에서 신체, 심리, 사회적 대처 능력을 높여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화함은 물론 생산적인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간호하는데 있어 필요한 이론적 체계를 학습하며 장애별 구체적인 재활 간호계획을 수립, 실행, 그리고 평가하는 과정을 깊이 있게 다룬다. |
|
7 | 5111012 | 전선 | 지역사회 정신간호 | Community Mental Health Nursing | 3 | 지역사회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사정, 진단, 수행 및 평가에 대하여 학습하고 지역사회 대상자의 정신건강증진 방안에 대하여 토의한다. |
|
8 | 5111013 | 전선 | 건강증진과 간호 | Health Promotion and Nursing | 3 | 건강증진 개념 및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나아가서는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
|
9 | 5111014 | 전선 | 간호와 리더쉽 | Nursing and leadership | 3 | 리더쉽 이론, 특징 및 종류를 이해하고, 미래에 필요한 간호 리더쉽을 갖춘다. |
|
10 | 5111015 | 전선 | 노인간호 특론 | Special lecture on Gerontological Nursing | 3 | 노인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해 필요한 건강생활양식을 이해하고 관련간호활동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며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당한 간호중재를 연구한다. |
|
11 | 5111016 | 전선 | 생명윤리와 간호 | Bioethics and Nursing | 3 | 의료현장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쟁점과 해결방안을 다룬다. |
|
12 | 전선 | 학위논문세미나 | 3 | 연구자의 연구주제를 중에서 현재 대두 되고 있는 간호영역의 최근 현안과 이슈들과 관련된 논문을 검색하고 비판적인 논의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, 평가하여 논문에 활용방안을 모색한다. |
|||
13 | 전선 | 보건통계학 | Biostatistics | 3 | 근거중심의 간호실무를 위해 간호 연구의 수행과 연구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높이기 위해 통계방법과 분석과정을 습득하여 과학적 조사를 적용하고 시도, 처리하는 능력을 기른다. |
||
14 | 전선 | 완화 간호 | Palliative Nursing | 3 |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유지를 위하여 환자와 가족을 위해 신체간호, 증상관리, 통증관리, 영적 간호 제공에 관해 연구하고 고찰한다. |
||
15 | 전선 | 여성건강증진 | Women's Health Promotion | 3 | 여성들이 겪는 육체적, 심리적,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생의 주기별 건강문제가 무엇이고, 독특한 건강 행위와 건강증진을 지향하는 적절한 건강행위에 대한 규명하는 능력을 기른다. |
||
16 | 전선 | 질적 연구 | Qualitative Research | 3 | 현상학, 문화기술학, 일상생활기술학, 근거이론 등 다양한 질적 연구에 대한 지식 및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고, 이 분야 최신 연구문헌을 소개함으로써 간호 실무이론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
||
17 | 전선 | 가족 간호 | Family Nursing | 3 | 시대의 흐름에 따른 가족들의 질환 및 그들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의 변화, 그로 인한 가족의 요구변화, 그리고 인접학문의 가족간호중재의 발전 정도에 맞추어 고유한 가족 간호에 대한 개념을 개발한다. |